Point-to-point & Point-to-multipoint Neighbor
Case 2. Point-to-point network type ↔ Point-to-multipoint network type
Device
Configuration
R1
interface lo0
ip address 1.1.1.1 255.255.255.255
interface fa0/0
ip address 10.10.10.1 255.255.255.0
ip ospf network...
Non-broadcast & Broadcast Neighbor
서로 다른 OSPF Network Type 간에 Neighbor 관계를 수립할 때 유의하여야 할 내용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자. 먼저 Neighbor를 자동으로 선출하는 Network...
OSPF Network Type 비교
분류 1. Neighbor 선출 방법
Neighbor를 자동으로 선출하는지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지는 Multicast '224.0.0.5'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정해진다.
Network Type
Multicast 전송여부
Neighbor 설정
point-to-point
O
자동
broadcast
O
자동
non-broadcast
X
수동
point-to-multipoint
O
자동
point-to-multipoint non-broadcast
X
수동
분류 2....
Point-to-multipoint non-broadcast Network Type
OSPF Network type 중 Point-to-multipoint non-broadcast는 Cisco에서 만든 Network type으로 default로 설정되는 Protocol은 없다. 그래서, Point-to-multipoint와 마찬가지로 관리자가 필요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해 주어야...
Point-to-multipoint Network Type
OSPF Network type 중 Point-to-multipoint가 default로 설정되는 Protocol은 없다. Point-to-multipoint는 관리자가 필요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해 주어야 하는 Network type이다.
그럼, 앞에서 학습한 내용을...
Non-Broadcast Network Type (NBMA)
OSPF Network type 중 Non-broadcast는 다음의 경우 자동으로 적용된다.
Layer 2 Encapsulation: Frame-relay, ATM, X.25 등과 같은 NBMA Protocol
그럼, 앞에서 학습한 내용을...
Broadcast Network Type
OSPF Network type 중 Broadcast는 다음의 경우 자동으로 적용된다.
Layer 2 Encapsulation: Ethernet, Token-ring와 같은 Multi-Access Protocol
loopback interface (Cisco의 경우 'Loopback' Network...
Point-to-point Network Type
OSPF Network type 중 point-to-point는 다음의 경우 자동으로 적용된다.
Layer 2 Encapsulation: PPP, HDLC와 같은 Point-to-point 전용 Protocol
Tunnel interface
그리고, Cisco 같은...
Neighbor를 수동으로 설정할 것인가?
OSPF Network Type을 결정하기 위한 두번째 고려사항은 Neighbor를 수동으로 설정할 것인지, 자동으로 선출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. 단순하게 생각하면 Neighbor를 자동으로 선출하도록 하는...
DR/BDR을 선출할 것인가?
Interface에 OSPF Network type을 설정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사항 중 첫번째는 DR/BDR을 선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. 앞에서 설명했듯이 DR/BDR은 multi-access 기반인 'broadcast'와 'non-Broadcast' Network...